솔뫼구름/창문너머 보는 세상

솔뫼구름/창문너머 보는 세상

  • 분류 전체보기 (1060)
    • 풍경 (171)
    • 여행 (133)
    • 창작(creation) (104)
    • 사찰순례 (36)
    • 성지순례 (7)
    • 백로 이야기 (3)
    • 꽃 식물 이야기 (78)
    • 연꽃 이야기 (39)
    • 송도 이야기 (9)
    • 산 이야기 (38)
    • 테마사진 (62)
    • 진주금산 (1)
    • 영광 (1)
    • 진주 (49)
    • 중국 복건성 하포출사 (10)
    • 백두산 (14)
    • 계림(2019년 6월) (0)
    • 회외출사 (7)
    • 누드 (4)
    • 전시회 (3)
    • 인물 (15)
    • 조류,동물 (6)
    • 곤충 (1)
    • 접사 (2)
    • 일터이야기 (4)
    • 출사 이야기 (19)
    • 나의 이야기 (156)
    • 솔뫼 사진단상 (11)
    • 솔뫼 서비의 사진 (3)
    • 포포샵 이해 (0)
    • 사진 잘 찍는 법 (3)
    • 사진자료실 (7)
    • 아들 이야기 (14)
    • 손자,손녀 이야기 (0)
    • 퍼온글 (1)
    • 약초이야기 (4)
    • 동화속 자연인 우리집이야기 (6)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솔뫼구름/창문너머 보는 세상

컨텐츠 검색

태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연꽃 이야기(39)

  • 청도 혼신지

    2023.07.16
  • 겨울 상림에서..

    2023.07.13
  • 겨울 연밭에서 놀다

    2023.07.13
  • 아라홍연 - 700년만에 핀 연꽃을 쫒아서 ..두번째 이야기

    2023.07.13
  • 아라홍연 - 700년만에 핀 연꽃을 쫒아서 - 첫번째 이야기

    그럼 이런 의문이 생깁니다. 왜 그당시 피지 않았으며 썩지 않았을까? 그것은 땅속 4~5m속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만약 씨앗이 땅에 노출되어있었거나 얕게 묻혀 있었다면 그 당시에 꽃을 피웠을겁니다. 하지만 땅속 깊숙이 있어 완전한 수의 특성을 가지고 썩지 않고 씨앗 그자체로 남아 있을수 있었던 것이지요 깊은 땅속도 수의 특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겨울에는 땅이 단단한 것입니다. 水는 응축했다가 土의 도움으로 木의 특성인 生(팽창)하려고 합니다. 이것이 바로 생명입니다. 오행의 상생상극으로 본다면 수생목(水生木)입니다. 이렇게 되는 것은 土의 중재로 씨앗이 꽃을 피는 겁니다. 한겨울이 되면 씨앗은 피지 않습니다. 물론 비닐하우스에서는 겨울에도 꽃은 핍니다. 이것은 인위적으로 생명이 자랄수 있게 일정 온도를 ..

    2023.07.13
  • 옥 속에서 연을 캐다

    2023.07.12
이전
1 2 3 4 5 ··· 7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