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지순례(7)
-
문익점선생 사적비를 찾아서
문익점은 1329년 2월, 경상도(지금의 경상남도)의 산청의 강성현(江城縣)에서 문숙선(文淑宣)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은 강성(江城)이다. 사실상 문익점의 생몰년은 다소 불확실하며 태어난 해는 1331년, 사망한 해는 1400년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그의 첫 이름은 익첨(益瞻)이었다가 뒤에 익점으로 개명하였다. 자는 일신(日新), 호는 삼우당(三憂堂)이다. 아버지 문숙선은 과거 시험에 급제하였으나 벼슬은 극구 사양했다. 문익점(文益漸, : 문익첨, 본명 文益瞻, 1329년 2월 8일~1398년 6월 13일)은 경상도 김해부 사록·한림원 순유박사·국자감 성균관 대사성 등을 두루 지낸, 고려 시대 후기 말엽의 학자·문신·외교관이다. 그의 주요 거주지는 고려 개경이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2025.03.18 -
행주성당
행주 성당은 2015년 12월8일 특별 전대사 순례지 선정하고 이를 기념하고 성모님의 도움을 청하는 이들이 기도할 수 있는 거룩한 순례지로 제공하기 위하여 대구 대교구장님 허락으로 대구 대교구 성모당의 모델로 한 행주성당 성모당을 건립하였다.
2023.10.26 -
걷기좋은 순례길 천안 성거산성지
중국의 사기(史記)에는 신선(神仙)이 살고 있는 산을 삼신산(三神山)이라 하였고, 고려 충렬왕 때의 명승(名僧) 보각국사(普覺國師)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三國遺事)를 보면 우리의 민간 신앙과 신선(神仙)사상을 엿볼 수 있는데 옛부터 신(神)이 머무르는 산을 도상학적으로 3봉우리 산으로 표현하였다. 그리하여 전체적인 분위기를 3봉 산에 역사성을 집약 시켜 놓았다. 성거산(聖居山의 명칭은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삼국 통일을 이룩하기 위하여 분주할 때 직산면 수헐원을 지나다 동쪽 산을 보니 오색구름이 영롱함을 보고 신령이 사는 산이라 하여 제사를 지내게 하고 성거산의 명칭을 지어 주었다고 한다. 아래 3(≡)으로 나누인 것은 과거 현재, 미래를 뜻한다, 우리 과거 순교자들의 순교정신이 현재, 미래로 뻗어나가..
2023.09.08 -
천진암[ 天眞庵 ] 2023.08.25
-
장수성당 수분공소 2023.07.27
-
백양사 쌍계루의 아침 2023.04.04